[공연소개]
2021년 2월부터 매월 넷째 주 금요일 오전을 음악으로 채워주고 있는 새로운 예술의전당 마티네 콘서트의 두 번째 무대가 찾아옵니다. 국내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중견 연주자를 중심으로 지휘자 이택주가 이끄는 KT심포니오케스트라가 깊이 있고 풍성한 연주를 선보입니다. 또한 2004년 예술의전당 사장으로 재직 시절 마티네 콘서트를 런칭해 전국에 마티네 콘서트 열풍을 일으킨 피아니스트 김용배가 콘서트 가이드로 나서 쉽고 재미있는 해설을 곁들여 초심자와 애호가 모두 만족하는 음악회로 꾸밉니다.
[프로그램]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서곡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 ‘벌써 다 이긴 셈이다’ (바리톤 한규원)
클라라 슈만 | 피아노 협주곡 a단조 Op.7 (피아노 이윤수)
슈베르트 | 세레나데 D.957 (바리톤 한규원)
비제 | 오페라 <카르멘> 중 ‘투우사의 노래’ (바리톤 한규원)
슈베르트 | 교향곡 제9번 “그레이트” 1, 4악장
[출연]
지휘 이택주
피아노 이윤수
바리톤 한규원
콘서트 가이드 김용배 (피아니스트)
연주 KT심포니오케스트라
[프로필]

지휘 이택주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인 이택주는 연세대학교 졸업 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와 조지아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일찍이 각종 콩쿠르에서 두각을 나타낸 그는 1973년과 1974년 이스라엘, 오스트리아, 영국, 미국 등지에서 열린 세계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한국 대표로 선발되어 주빈 메타와 레너드 번스타인의 지휘 하에 공연하여 큰 호응을 받았고 이후 브라질의 북 리오그랑데 연방대학의 초청교수를 역임하였다. 교향악단의 악장으로 20여 년을 활동한 베테랑 음악인인 그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최연소·최장수 악장을 비롯, 핀란드의 쿠모와 홍콩 아트페스티벌 초청 연주, 예음 설악 실내악 페스티벌 음악감독과 예음 현악사중주단의 리더로서 수백 회의 실내악 공연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예술의전당 음악예술감독을 역임하였고 5.16 민족상 음악전 특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KT심포니오케스트라 음악감독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초청지휘 박혜산
클라리넷을 전공으로 음악생활을 시작한 박혜산은 부산대학교 음악학과를 졸업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음악대학에서 Orchester Dirigieren 학사과정을 마쳤다. 그는 Gottinger Symphonie Orchester, Sudwestfalen Philharmonie, Georgisches Kammerorchester Ingolstadt, Neuen Preußischen Philharmonie, Neue Brandenburg Philharmonie, Ensemble Modern Akademie, Main Kammerorchester 등 독일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였다. 또한 Hindemith Institut의 후원을 받아 Hindemith의 오페라 〈 Das lange Weihnachtsmahl 〉을 지휘하였고 〈마술피리〉, 〈사랑의 묘약〉, 〈라 트라비아타〉 등 다양한 오페라 레퍼토리도 지휘하였다. 그리고 체코슬로바키아 건국 100주년을 기념한 Jana?ek Brno Festival 2018에 Assistant로 체코 전국 투어 연주에 참여하였다. 또한 세계적인 작곡가 Brian Ferneyhough와 함께 그의 작품 Funerailles Version 1, 2를 공동작업을 하였고 세계적인 연주자 Lucas Fels와 함께 작업하는 등 현대음악에도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지휘과 석사 재학 중이다.

피아노 이윤수
“곡의 본질을 잃지 않으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대단히 지적인 연주자”, “흠잡을 곳 없는 완벽한 해석과 놀라움을 선사한 노련함”이라는 유럽 언론의 찬사를 받아온 이윤수는 2003년 오스트리아 국립 방송의 초청 독주회로 비엔나에서 데뷔한 이래 서울시립교향악단, 뉘른베르크 심포니, 베를린 심포니 오케스트라, 프라하 심포니 오케스트라, 아르메니아 국립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등과의 협연하였고 매년 꾸준한 독주와 실내악 등 다양한 연주로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뮤직페라인홀, 독일의 베를린 필하모니, 프라하의 스메타나홀, 더블린의 National Concert Hall,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등 굵직한 무대에 오르며 프로 연주자로서의 입지를 확고히하며 차세대 연주자로 성장했다. 일찍이 한국음악콩쿠르 대상, 조선일보 콩쿠르 1위, 틴에이저 콩쿠르 골드상 등으로 두각을 나타낸 이윤수는 한국에서 김영호, 이혜전, 조숙현, 문용희, 정진우 교수를 사사하였고 연호예술상을 수상하며 예원학교를 실기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서울예고 1학년 재학 중 도오, 비엔나 국립음대에 진학하여 학·석사 과정과 전문 연주자과정을 모두 만장일치로 최우수 졸업하였으며 이후 베를린 국립음대에서 Klaus Hellwig 교수를 만나 최고연주자 과정을 마쳤다. 그 과정에서 브람스 국제 음악 콩쿠르, 이탈리아 엔니오 포리노 국제 피아노 콩쿠르, 그리스 로도스 국제 피아노 콩쿠르, 뵈젠도르프 콩쿠르 우승과 시드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제네바 국제콩쿠르, 프랑스 에피날 국제콩쿠르, 스페인 호세 로카 국제콩쿠르 등 세계 유수 콩쿠르에서의 수상으로 그 실력을 다시금 인정받았다. 만 15세에 한국을 떠난 이후 주로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해온 이윤수는 독일의 Moselfest, 그리스의 Dimitria Art Festival, 스페인 Gijon Festival, 영국 Chetham Music Festival, 체코 Krumlov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등 세계 각지의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연주를 선보여 왔으며 매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과 IBK챔버홀에서의 독주회, 11시 콘서트, 부산 국제 챔버 뮤직 페스티벌, 국내 실내악 팀들과의 협동 공연 등을 통해 국내 활동을 넓혀 나갔다. 현재 부산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는 이윤수는 2017년 시작된 슈만 전곡 시리즈 외에도 앙상블 NUNC를 창단하여 베토벤 트리오 전곡 연주를 기획하는 등 끊임없이 연주자로서의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바리톤 한규원
고급스럽고 힘찬 소리로 많은 평론가와 관객의 사랑을 받고 있는 한규원은 미국 맨하탄 음대 와 동 대학원을 졸업 후 동 대학 최고연주자 과정을 수료하였다. 졸업 후 San Francisco Opera와 Don Giovanni의 title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으며, 그 후 같은 작품으로 미주 31개 도시 순회공연을 하였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오페라단의 상근단원 Adler Fellowship에 한국인 최초로 발탁되어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였다. 그 후 프랑스 Strassbourg 국립오페라단, 도쿄의 신국립극장에서 데뷔하며 활동범위를 넓혀왔다. 암스텔담 Concert Gebaouw, 파리 샹제리제극장, 뉴욕 카네기홀 동경 산토리홀 등 세계 유명극장에서 공연하였으며 일본에서 매년 열리는 10,000명의 합창단과 함께하는 베토벤 합창 교향곡에 14년째 독창자로 출연했다. 한국에서는 국립오페라단, 서울시오페라단, KBS교향악단 등 유수 단체와 공연했으며 <열린음악회> 다수 출연, KBS드라마 <대왕세종>의 OST 녹음 등이 있다. 수상경력으로는 Belvedere Competition, Mario Lanza Competition, Oratorio Society Competition, Puccini Competition, Di Capo Opera Competition, 이대웅 콩쿠르 등이 있다.

콘서트 가이드 김용배 (피아니스트)
서울대 인문대학 미학과 재학 중 여러 콩쿠르의 입상, 협연과 수차례의 독주회 등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은 피아니스트 김용배는 대학 졸업 후 서울대 대학원 피아노과로 진학하였다, 이후 미국 Virginia 주립대학과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에서 공부하였다. 1986년 귀국 후 가진 첫 독주회로 ‘이달의 음악가’ 상을 받았으며 그 이후로 여러 차례 서울과 지방에서 독주회,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한국평론가협의회 제정 ‘1988 최우수 예술가’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1990년부터 추계예술대학교 교수와 2004년부터 3년간 예술의전당 사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명예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주 KT심포니오케스트라
국민 기업 KT에서 국민과 함께 아름다운 문화 나눔을 실천하고자 2009년 창단한 KT체임버오케스트라는 2021년 KT심포니오케스트라로 규모를 확장해 재도약한다. 2020년까지 KT체임버홀에서 'KT와 함께하는 토요일 오후의 클래식'을 통해 매월 첫째, 셋째 주에 관객들과 만나왔다. 탁월한 음악적 해석을 바탕으로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겸 지휘를 맡고 있는 이택주 교수와 국내외 수준 높은 실력을 갖춘 단원들이 선보이는 공연은 매회 전석 매진을 기록해왔다. 모차르트 교향곡 전곡, 슈베르트 교향곡 전곡, 슈만 교향곡 전곡,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곡, 하이든 파리 교향곡 전곡 등 한 작곡가의 작품을 집대성해 선보이며 한국 클래식 음악계의 역사를 만들어온 KT체임버오케스트라는 KT심포니오케스트라로서 더욱 폭넓은 장르와 진보된 음악으로 관객들을 찾아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