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FILE
Flutist 김예지
맑은 음색, 끊임없는 열정, 세련된 연주로 대중에게 참신하고 폭넓은 음악 세계를 선보이는 플루티스트 김예지는 예원학교와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 후 목원대학교를 수석으로 입학 및 졸업하였으며, 이후 도미하여 미국 오하이오주 볼링그린주립대학교 전문연주자, 석사, 박사, 전 과정을 전액 장학생으로 수학하였다.
일찍이 연주력을 인정받아 무대에서의 자신감과 안정감을 보여주며 이화콩쿨, 음악춘추콩쿨 등 다양한 콩쿨에서 입상하여 국내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었고, 워싱턴 플루트협회 영아티스트 컴페티션, 미국음악교사협회(MTNA) 영아티스트 컴페티션, 제38회 볼링그린 뮤직 컴페티션에서 우승하는 등 다양한 국제무대에서도 활약하여 그 실력을 인정받아 전문연주자로서의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고음악부터 현대음악까지 다양한 레퍼토리로 다채로운 활동을 펼쳐온 그녀는 금호아트홀, 대전예술의전당 귀국독주회를 시작으로 매년 다양한 공연장에서 개인독주회를 가지고 있으며, 몰도바 국립방송교향악단, 서울로얄심포니 오케스트라, 체코 야나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대전시립교향악단, 충남교향악단과, 안디무지크 필하모니아, 대전클라리넷콰이어 등 다양한 단체들과 협연한 바 있다.
실내악 주자로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일본, 중국, 싱가포르, 독일, 크로아티아, 스페인 등에 초대되어 연주하였고,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금호아트홀, 일신홀 등 국내 주요공연장에서 앙상블 블뤼테, 플로비아노 등의 멤버로서 활발한 실내악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현대음악 전문연주자로서 미국 Heidelberg University, University of Alabam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등의 현대음악제에 초청되기도 하였으며, 귀국 후 뜻을 같이하는 음악동료들과 함께 직접 창단한 현대음악앙상블 트와씨 Trois C의 멤버로서 쇤베르그, 메시앙, 크럼, 하비슨, 라이히 등을 포함, 20세기 이후 대표적인 현대음악작곡가들의 작품들을 국내 초연으로 선보이고 다양한 위촉작품들을 연주하는 등 끊임없는 연주 활동을 하며, 많은 아티스트들과의 교류를 통해 활발한 현대음악 공연활동을 펼치고 있다.
오케스트라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귀국 직후부터 안디무지크의 수석단원으로서 오케스트라 무대에도 빈번히 오르며, 전주시향, 성남시향, 청주시향, 대전시향 등의 단체에서 객원수석과 단원으로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매년 새로운 주제와 다양한 기획 연주로 대중들에게 플루트 음악을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으며, 현재 Dolce Powell Artist, 대전플루트콰이어 음악감독 겸 리더와 아시아 플루트 연맹(AFF) 상임이사로 활동함과 동시에 목원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Piano 김선아
> 선화예고 졸업, 서울대 음악대학 기악과 졸업
> 미국 인디애나 대학 석사학위 취득
> 미국 미시건 주립대학 박사학위 수료
> 97 한국예술 음악협회 콩쿨 최우수상, 96 문화콩쿨 1위
> 논문 "라흐마니노프(S. Rachmaninoff)의 피아노 협주곡 Op. 18 No. 2번에 대한 연구, 음악과 예술 2011-1", "슈만(R. Schumann)의 판타지(Fantasie Op. 17)에 대한 연구, 음악과 예술 2012-2"
> 목원대학교 강사 역임, 음악예술학회, 피아노 교수법학회 회원
> 현) 선화예중·고 출강
PROGRAM
J. N. Hummel (1778-1837)
Sonata for Flute and Piano in D Major, Op. 50
I. Allegro con brio
II. Andante
III. Rondo pastorale
C. Franck (1822-1890)
Sonata in A Major
I. Allegretto ben moderato
II. Allegro
III. Recitativo-Fantasia. Ben moderato
IV. Allegretto poco mosso
INTERMISSION
P. I. Tchaikovsky (1840-1893)
Lensky’s Aria
G. Bizet (1838-1875)
Carmen Fantasy (arr. by Seiya Ueno)
H. Beeftink (b. 1953)
“Blue” for Solo Flute (한국초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