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검색어

최근검색어삭제

최근검색어가 없습니다

첼리스트 조영창 리사이틀

첼리스트 조영창 리사이틀

2012.06.07 ~ 2012.06.07예술의전당 콘서트홀

트위터
등급
 초등학생이상
관람시간
 100 분
출연
 -
혜택

사용가능쿠폰(1) 무이자할부 제휴카드할인

공연시간 안내
2012년 6월 7일 (목) 오후 8시
배송정보
현장 수령 또는 배송(등기우편)
판매가 종료된 상품입니다.

유의사항

※ 본 상품은 문화비 소득공제 제외 상품입니다.


주최 및 주관 : 영앤잎섬(주) 문의 : 02)720-3933

공연정보

 

 

  

  

 [할인안내]
 ※ 장애인(1급~3급) 및 국가유공자 동반1인까지 50%
 ※ 장애인(4급~6급) 본인만 50% (티켓수령시 증빙카드 제시)

 ※ 국가유공자 유족증, 의사자 유족증, 의사자증 본인만 50% (티켓수령시 본인이 증빙카드 제시)

 ※ YES마니아 10% (1인 2매)
 ※ 초중고대학생 20% (티켓수령시 학생증 지참)

 * 중복할인불가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첼리스트 조영창
 
올 한해 중 가장 흥분됐던 음악회 중 하나였다! - 뉴욕 선데이 타임즈
`One of the most exciting musical event of the year!`, New York Sunday Times
 
원자도 쪼갤 수 있는 컨트롤과 끝도 없이 무한한 표현의 힘 - 영국 스트라드
`Atom splitting control and Seemingly endless power of expression`, Strad Magazine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첼리스트 조영창! 그의 음악의 깊이는 세월이 갈수록 깊고 풍부해지며 가슴으로 연주하는 첼리스트의 음악은 관객을 사로잡을 수밖에 없다. 첼리스트 조영창은 전세계를 무대로 삼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실내악 연주, 출제 참여 등 2000여 회의 공연을 해 오고 있으며 한국과 독일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는 이 시대를 대표하는 첼리스트이다. 수많은 연주회를 갖고 있는 그가 국내에는 10년 만에 그만의 리사이틀을 준비하고 있다.
 
2012년, 로스트로포비치 타계 5주년…
스승을 사랑한 제자의 헌정 리사이틀, 우정의 무대
 
2012년은 첼리스트 조영창의 스승이었던 로스트로포비치가 타계한지 5년이 된다. 이에 조영창은 거장이자 그가 사랑했던 로스트로포비치를 기리며 이번 리사이틀을 준비한다. 스승과 제자, 그리고 첼리스트라는 동료로 같은 세기를 보냈던 이들의 우정과 사랑이 이번 리사이틀을 통해 울려 퍼질 예정이다. 특별히 첼리스트 조영창은 로스트로포비치 타계 5주년 기념일인 4월 27일에 독일 크론베르크에서 로스트로포비치 제자로서 첼리스트를 대표하여 공연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뜻 깊은 공연을 한국에서는 6월 7일 예술의전당 콘서트에서 만날 수 있다.
 
10년만의 리사이틀, 스승을 기리는 리사이틀, 이러한 특별한 공연에 또한 특별히 조영창의 친구이자 프랑스 아티스트인 피아니스트 파스칼 드봐이용(Pascal Devoyon)이 함께 한다.
우정을 나누는 첼리스트 조영창 리사이틀, 이들의 아름다운 하모니를 기대한다.
 
[프로그램]
 
베토벤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Beethoven - Variations for Cello and Piano
프로코피에프 - 소나타
Prokofiev - Sonata
 
-INTERMISSION-
 
그리그 - 소나타
Grieg Sonata
피아졸라 - 그랑탱고
Piazzolla Grand Tango
 
*상기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 가능합니다.
 
[출연자]
 
조영창 Young-Chang Cho │ 첼리스트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난 조영창은 성악가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음악적 환경에서 자랐다. 5살에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8살에 첼로로 바꾸어 첼리스트의 길로 들어서기 시작했다. 예원학교 2학년 때 내한한 야노스 슈타커에세 연주를 선보인 것이 계기가 되어 미국 유학 길에 오늘 조영창은 피바디 음악대학, 커티스 음악학교, 뉴 잉글랜드 콘서바토리에서 모두 전장학생으로 공부했다. 1980년 뉴 잉글랜드 콘서바토리를 졸업한 뒤 유럽으로 건너가 첼로의 살아있는 거장 지그프리드 팔름 교수와 로스트로포비치에게 수업을 받았다.
 
1970년 서울 시향 오디션에 선발되어 처음 연주를 시작한 첼리스트 조영창은 필라델피아 콘체르토 솔로이스트, 필라델피아 오페라 컴퍼니 오케스트라, 뉴욕 브란덴부르크 앙상블, WDR(서독 방송국) 오케스트라의 첼로 수석주자로 활동했으며 실내악에도 많은 관심을 보여 1982년부터 반 호펜 현악4중주를 결성하여 베토벤 현악 4중주 전 17곡을 완주 및 독일, 호주, 한국, 네덜란드, 그리스에서 연주 활동을 했다. 네덜란드에서는 파르카니 트리오(Parkanyi Trio)로 활동을 해왔고 국내에서는 1999년부터 2009년까지 화음 챔버 오케스트라의 리더를 역임했고 76년도부터 현재까지 두 누나와 함께 조 트리오를 결성하여 매년 겨울 조 트리오와 함께하는 음악 캠프로 국내 음악도를 지지하는 등 꾸준한 활동으로 전 세계를 무대로 2000여 회 연주를 해오고 있다. 독일, 미국, 유럽, 일본, 중국, 한국에서 100여 회의 독주회를 열었다.
 
1975년 내셔널 영 콘서트 아티스트(미국) 입상을 시작으로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쿨 트리오 부문,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쿨, ARD(독일 뮌헨 국립방송국) 국제 콩쿨 트리오 부문, 나움버그 국제 첼로 콩쿨, ARD 국제 콩쿨 첼로 부문, 파블로 카잘스 국제 첼로 콩쿨, 코다이 솔로 소나타의 특별 연주자상 수상 등 주요 국제 음악 콩쿨을 휩쓸었다.
 
로스트로포비치 콩쿨 입상으로 로스트로포비치와 인연을 맺은 조영창은 1984년 워싱턴 내셔널 심포니의 동남아 순회공연 협연자로 추천되어 연주하는 행운을 안았다. 그 해 10월에는 매우 성공적으로 뉴욕 데뷔 연주회를 가졌는데 뉴욕타임즈는 이 연주회에 대해 ‘올 해의 가장 흥분시키는 연주회 중 하나’One of the most exciting musical events of the year’ 라고 칭송하기도 하였다.
 
그는 KBS교향악단, 서울시향, 코리안 심포니, 대전시향, 부산시향, 울산시향, 대구시향, 전주시향, 부천시향, 수원시향, 충남시향, 화음 챔버 오케스트라, 유라시안 오케스트라 외 국내 오케스트라와 협연했으며, 일본의 NHK, 도쿄 필하모닉, 대만의 타이페이 심포니, 미국의 보스톤 심포니, 뉴욕 브란덴부르크 앙상블, 워싱턴 내셔널 심포니, 필라델피아 콘체르토 솔로이스트, 독일의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헤센 방송 교향악단, 에센 필하모닉, SR방송교향악단, WDR 심포니, 슈투트가르트 캄머 오케스트라, 바이에른 캄머 필하모닉, 프랑스의 파리 오케스트라, 이태리의 볼로냐 시립극장 오케스트라, 바리 심포니 오케스트라, 오스트리아의 빈 슈타트 캄머 오케스트라, 핀란드의 헬싱키 필하모닉, 노르웨이의 트론헤임 교향악단, 그리스의 데살로니키 오페라 하우스, 러시아의 상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헝가리의 부다페스트 방송 교향악단, 체코의 프라하 챔버 오케스트라, 불가리아의 소피아 필하모닉, 바르나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네덜란드의 네덜란드 챔버 오케스트라, 남아프리카의 요하네스버그 필하모닉, 터키의 빌켄트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페스티벌에도 초청되어 서울국제음악제,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에 참가하고 있으며 독일의 국제 크론베르크 첼로 페스티벌(1993년~현재), 일본의 오사카 페스티벌, 삿포로 페스티벌, 오타루 국제음악축제, 중국의 제1회 국제 포비든 시티 뮤직 페스티벌, 노르웨이의 스타방게르 페스티벌, 크리스티안산 페스티벌, 호주의 호주 실내악 음악 축제, 모스틀리 모차르트 페스티벌, 프랑스의 보베 국제 첼로 페스티벌, 라디오 프랑스 국제 음악 축제, 핀란드의 사본린나, 라우마, 투르쿠에서 열리는 축제, 세르비아의 베오그라드 국제 첼로 페스티벌, 불가리아의 바르나 국제 여름 음악 축제, 루세 국제 음악 축제 등에 참가하였다.
 
조영창은 2000여 회의 공연을 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제1회 청와대 초청 신년음악회, 광복 50주년 기념 음악회 전국 순회공연, 7인 음악회, 안익태 기념재단 주최로 열린 안익태 기념 음악회, 한국에이즈퇴치연맹/GSK 주최로 한국 순회 공연 등 국내에서의 뜻 깊은 공연을 진행하였으며 독일에서는 독일 정부 초청으로 통독 10주년 기념 베를린 장벽 음악회에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초청받아 연주하였으며(1999년), 독일 문화원 주최로 동남아 순회 공연(1987년, 1989년), 독일 문화원 주최 조 트리오 인도 순회공연(1981), 독일-세르비아 정부 초청으로 통독 20주년 기념으로 12 첼리스트-조영창과 11제자들 음악회를 진행, 독일 에센 시 초청 송년음악회 등 해외 정부로부터의 러브 콜을 받으며 대가 첼리스트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콩쿨의 심사를 맡아 세계적인 유망한 첼리스트를 발굴하고 있는 조영창은 특별히 그가 입상하였던 세계적 첼로 콩쿨인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쿨(1994년~현재), 파블로 카잘스 국제 첼로 콩쿨(2001년~현재), ARD 국제 첼로 콩쿨(1998년, 2000년)의 심사를 맡고 있으며, 제1회 아담 국제 첼로 콩쿨(뉴질랜드, 1999년), 제1회 윤이상 첼로 콩쿨(2004년), Mark-Neukirchen 국제 첼로 콩쿨(2005년), 제1회 베이징 국제 첼로 콩쿨(2010년), 제14회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콩쿨(2011년), 제5회 자그레브의 야니그로 국제 첼로 콩쿨(2012년)의 심사의원으로 참여하였다.
 
텔로스 레이블로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곡(2001년), 하이든 첼로 콘체르토(1996년), 로스트로포비치 추모 크론베르크 페스티벌 라이브 콘서트(2008년), 조영창 일본 첼로 리사이틀 JOD(1990년), 조 트리오 차이코프스키, 아렌스키(1997년), 조 트리오 쇼스타코비치, 멘델스존 바르톨리(1993년), 12첼리스트 라이브 인 하모니(2009년) 등 다수의 음반을 녹음하였고, 미국, 독일,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한국, 일본, 대만, 중국, 그리스, 불가리아, 터키, 세르비아, 호주, 뉴질랜드에서 마스터 클라스를 진행했다.
 
조영창은 1987년부터 현재까지 독일 엣센 폴크방 국립음악대학 교수(최연소로 임용)로 재직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여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파스칼 드봐이용 Pascal Devoyon │ 피아니스트

비오티, 부조니, 리즈 콩쿠르 등 세계 유수의 콩쿠르에서 입상, 이어 1978년 프랑스 출신 피아니스트로서는 처음으로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은메달을 수상하면서 파스칼 드봐이용은 전 세계에 그의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비쉬코프, 뒤트와, 크리빈, 잔데를링 등의 지휘자들과도 함께 런던 필하모닉, 파리 오케스트라, 로테르담 필하모닉, 헬싱키 필하모닉,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도쿄 NHK 심포니와 협연해 왔으며 뉴욕 카네기 홀, 암스테르담 콘체르트헤보우, 베를린 필하모니에, 런던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의 리사이틀을 통해 큰 호응을 얻어왔다. 매 시즌 일본에서 초청 연주회를 열고 있다. 베토벤 소나타 전곡부터 바르톡이나 메시앙과 같은 현대음악가들이 만든 20세기 작품까지 드봐이용의 레퍼토리는 그 폭이 넓고 다양하다. 드봐이용은 실내악에도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바이올리니스트 강동석, 필립 그라팽, 첼리스트 스티븐 이설리스 등의 연주자들과 지속적인 교류를 맺어오고 있다. 또한 영국의 바스 페스티벌이나 프랑스에서 열리는 그라팽의 Consonances 페스티벌 등의 실내악 축제에 정기적으로 초대받고 있으며, 한편으로 잉골프 투르반(바이올린), 틸만 뷕(첼로)과 함께 트리오 `Vipiace`의 일원이기도 하다. 2005년에는 그라팽(바이올린), 카아(첼로), 나이디히(클라리넷)과 메시앙의 4중주 곡(pour la fin du temps)과 힌데미트을 녹음했으며, 2006년에는 틸만 뷕과 마르티누의 첼로와 피아노르 위한 세 개의 소나타를 녹음하였다. 1999년부터는 강동석과 함께 프랑스에서 열리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음악아카데미 중 하나인 뮤직알프 페스티벌의 예술 감독을 역임하고 있다. 그는 파리 음악원에서 피아노 교수로 재직한 후 1996년부터는 베를린 대학 음대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3년 9월부터는 제네바에서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1년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공로훈장 기사장(Chevalier in l’Ordre du merite)을 받았다

 

기획사 정보

상품정보제공 고시

주최/기획 영앤잎섬(주) 소비자상담 02)720-3933
주연 관람등급 초등학생이상
공연시간 100 분 공연장소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취소/환불방법

취소 일자에 따라 아래와 같이 취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예매일보다 관람일 기준이 우선 적용되오니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예매 후 7일 이내라도 취소시점이 공연일로부터 10일 이내라면 그에 해당하는 취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단, 상품에 따라 취소 정책이 달라질 수 있고, 각 공연이 공지하는 취소 정책이 우선 적용되므로, 예매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취소일취소수수료
예매 후 7일 이내없음
예매 후 8일 ~ 관람일 10일 전까지장당 4,000원(단, 티켓 금액의 10% 이내)
관람일 9일 전 ~ 관람일 7일 전까지티켓 금액의 10%
관람일 6일 전 ~ 관람일 3일 전까지티켓 금액의 20%
관람일 2일 전 ~ 취소마감일시까지티켓 금액의 30%

예매수수료는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 취소 시에만 환불되며, 그 이후 기간에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취소는 MY공연>예매확인/취소 에서 직접 취소 또는 고객센터(1544-6399)를 통해 취소 가능합니다.
티켓이 배송된 후에는 PC/모바일 취소가 불가, 취소마감시간 이전에 예스24 고객센터로 티켓이 반송되어야 취소 가능합니다.
(취소수수료는 티켓 도착일 기준으로 부과되며, 배송비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각 상품별로 취소 정책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니, 각 상품 안내 사항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서울 서초구 서초동 700 02-580-1300http://www.sac.or.kr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서울 서초구 서초동 700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서울 서초구 서초동 700

100m
Kakao 맵으로 이동(새창열림)
예매
예매는 PC, 모바일, 고객센터 를 통해 신용카드, 가상계좌(무통장 입금), YES머니, YES상품권, 예치금 등으로 예매하실 수 있습니다.
(단, 상품마다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니 상품 상세페이지 안내 사항을 확인해주세요.)
무통장입금 결제 선택 시 입금 마감시간은 예매일 익일 밤 11시 29분까지입니다. 입금 마감시간 내 미입금 된 경우 예매가 자동 취소됩니다.
(단, 상품에 따라 예매 당일 밤 11시 29분에 마감되는 경우가 있으니 예매 전후 반드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예매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상품의 특성에 따라 예매수수료 정책은 다를 수 있습니다.)
장르PC / 모바일전화예매
콘서트, 뮤지컬, 클래식, 국악, 무용

장당 2,000원

장당 3,000원

연극

장당 1,000원

장당 3,000원

전시, 체험, 행사

무료

무료 

티켓수령방법

현장수령 티켓은 예매자 본인 수령이 기본 원칙입니다.
공연 당일 예매확인서와 예매자의 신분증 을 지참하신 후 공연장 매표소에서 티켓을 수령하시면 됩니다.

배송 배송을 선택하신 경우 예매완료(결제익일) 기준 5~7일 이내에 예매 시 입력하신 주소로 배송됩니다.(영업일 기준)
일괄배송의 경우 각 상품의 지정된 배송일부터 순차적으로 배송이 시작됩니다. 영업일 기준 5~7일 정도가 소요되며, 주소지에 따라 추가될 수 있습니다.
배송 시작일은 상세정보 및 예매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티켓 배송은 일반 택배가 아닌 인편 배송으로 진행됩니다. 인편 배송의 경우 경비실이나 우편함 등에 보관이 불가하며, 해당 장소로 배송 요청 후 분실 시 책임지지 않습니다.
부재 시 반송되니 반드시 티켓을 직접 받을 수 있는 주소를 기입 바랍니다.
티켓 수령과 관련된 정책은 상품별로 상이하니 자세한 내용은 각 상품 상세정보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취소마감시간
공연 관람일취소 마감일
화요일 ~ 토요일관람일 전일 평일 오후 5시
일요일 ~ 월요일토요일 오전 11시
공휴일 및 공휴일 익일공휴일 전일이 평일인 경우 - 오후 5시
공휴일 전일이 토요일, 일요일인 경우 - 토요일 오전 11시
공휴일에는 예매 취소 불가

관람일 당일 예매하신 건은 취소, 변경, 환불 불가합니다.
배송이 시작된 티켓의 경우 티켓이 예스24 공연 고객센터로 취소마감시간 이전까지 반송되어야 취소 가능합니다.(취소수수료는 도착일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결제수단을 복수로 선택한 경우 인터넷으로 부분취소가 불가하오니,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부 공연에 한해, 취소 마감 정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각 상품 상세페이지에 안내되어 있는 취소 정책이 우선 적용되오니, 반드시 예매 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취소수수료
취소일취소수수료
예매 후 7일 이내없음
예매 후 8일 ~ 관람일 10일 전까지뮤지컬, 콘서트, 클래식 : 장당 4,000원 / 연극, 전시 : 장당 2,000원(단, 티켓 금액의 10% 이내)
관람일 9일 전 ~ 관람일 7일 전까지티켓 금액의 10%
관람일 6일 전 ~ 관람일 3일 전까지티켓 금액의 20%
관람일 2일 전 ~ 취소마감일시까지티켓 금액의 30%
예매 후 7일 이내라도 취소시점이 관람일로부터 10일 이내라면 그에 해당하는 취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관람일 당일 취소 가능한 상품의 경우 관람일 당일 취소 시 티켓금액의 90%가 부과됩니다.
상품의 특성에 따라 취소수수료 정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각 상품 예매 시 취소수수료 확인)
환불
예매수수료는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까지 환불되며, 그 이후 기간에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배송 및 반송처리 된 티켓의 배송비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결제수단환불안내
신용카드

일반적으로 취소완료 되고 4~5일(토, 공휴일 제외) 후 카드 승인 취소가 확인됩니다.
취소시점에 따라 취소수수료와 예매수수료, 배송 받으신 경우 배송비를 제외한 금액만큼 환불 처리 됩니다. 
(부분 취소 시에는 잔여 티켓 금액 + 수수료 등을 제외하고 환불 처리 됩니다.)
각 카드사의 취소 정책에 따라 승인취소 및 환급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카드사로 문의 바랍니다.

무통장입금

예매 취소 시 반드시 환불 받으실 계좌번호와 은행명을 입력하세요.
환불은 반드시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로만 받으실 수 있습니다.
취소수수료,예매수수료와 배송 받으신 경우 배송비를 제외한 후 환불 처리됩니다.
취소 후 환불 처리는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환불진행상태는 MY공연>예매확인/취소 상세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배송 받은 티켓의 취소를 위해 고객센터로 발송하실 때, 환불 받으실 계좌 정보를 기입하여 보내주시면 보다 빠른 환불 처리가 가능합니다.
YES머니, 예치금, YES상품권, 공연예매권 예매 취소 시 바로 복원됩니다.
(단, 사용기간이 만료된 경우 복원되지 않으니 취소 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캐스팅 일정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과 이매뉴얼 액스 ①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1번〉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Ⅵ 〈비창〉 서울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의 베토벤 ‘합창’ ①
KBS교향악단 제821회 정기연주회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인천시립교향악단(4.2)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광주시립교향악단(4.3)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수원시립교향악단(4.4)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강릉시립교향악단(4.5)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KBS교향악단(4.6)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4.8)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청주시립교향악단(4.9)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4.10)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4.11)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대전시립교향악단(4.12)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전주시립교향악단(4.13)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제주특별자치도립제주교향악단(4.15)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진주시립교향악단(4.16)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부산시립교향악단(4.17)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서울시립교향악단(4.18)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대구시립교향악단(4.19)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4.20)
낭만주의 거장 〈라흐마니노프〉
한국교수콰이어 제19회 정기연주회
KT와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마음을 담은 클래식(4월)
서울 심포닉 윈드 오케스트라 제5회 정기연주회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의 헨델 메시아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내한공연(4.30)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바이올린 리사이틀
KBS교향악단 제813회 정기연주회
블라디미르 유롭스키 &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애니메이션 심포니 페스티벌
디 오리지널 시리즈 2025 베토벤 페노메논 with 임현정
디즈니 & 픽사 OST 콘서트
한화생명과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5월)
샤를 리샤르-아믈랭 피아노 리사이틀
필하모니코리아 정기연주회
브루스 리우 피아노 리사이틀
(사)서울윈드오케스트라 제116회 정기연주회
2025 서울시향 드뷔시와 라벨 ①
2025 서울시향 드뷔시와 라벨 ②
IBK기업은행과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5월)
타카치 콰르텟 with 박혜상
KBS교향악단 제814회 정기연주회
2025 서울시향 키릴 게르스타인의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 ②
콘체르토 마라톤 프로젝트 - 양성원의 첼로와 50년
낭만의 대조: 브람스와 차이콥스키
한재민 & 알렉산더 말로페예프 듀오 리사이틀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Ⅲ 〈여행〉 서울
캐나다 국립 아트센터 오케스트라 with 손열음
야쿠프 흐루샤 & 밤베르크 심포니
클라우스 메켈레 & 파리 오케스트라
한화생명과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6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
미하일 플레트네프 피아노 리사이틀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과 아우구스틴 하델리히 ②
IBK기업은행과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6월)
2025 서울시향 에드워드 가드너와 제임스 에네스 ①
국립합창단 제202회 정기연주회 낭만주의 거장의 합창음악Ⅱ 〈미사 글로리아〉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라벨, ‘라 발스’〉
알리스 사라 오트 피아노 리사이틀
고잉홈프로젝트: 라벨 시리즈 Ⅱ. (세르게이 바바얀 협연)
고잉홈프로젝트: 라벨 & 쇼스타코비치
KBS교향악단 제817회 정기연주회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
KBS교향악단 제818회 정기연주회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과 김봄소리 ①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과 김봄소리 ②
KBS교향악단 제819회 정기연주회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Ⅴ 〈불멸〉 서울
국립합창단 제204회 정기연주회 낭만주의 거장의 합창음악Ⅳ 〈미사 솔렘니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브루크너, 교향곡 4번〉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과 이매뉴얼 액스 ①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1번〉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Ⅵ 〈비창〉 서울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의 베토벤 ‘합창’ ①
KBS교향악단 제821회 정기연주회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인천시립교향악단(4.2)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광주시립교향악단(4.3)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수원시립교향악단(4.4)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강릉시립교향악단(4.5)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KBS교향악단(4.6)